고혈압 환자가 피해야 하는 친숙한 음식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는 별명을 가진 만큼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전에 발병하기 때문에 평소에 관리를 잘 해줘야 합니다.

특히, 고혈압 관리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식습관입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염분이 많이 들어간 음식이 많기 때문에 고혈압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친숙한 음식이지만 혈압질환에 치명적인 음식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혈압에 위험한 음식

  • 김치
    김치를 만들 때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과정에서 아주 많은 소금이 들어갑니다.
    가장 대표적인 고농도의 염분을 함유한 음식을 찾자면 김치를 고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주변에는 김치로 만드는 음식이 너무 많이 있습니다.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김치찜 등 김치가 포함된 음식들은 전부 고염분 음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인이 김치를 안 먹을 수는 없기도 하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이 특히 혈압 관련된 질병이 많은데 김치 없이는 식사를 안 드시는 분들도 많아 식사를 준비할 때 걱정이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 김치를 건강하게 먹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김치 물에 씻기
    김치를 먹을 때 물에 씻어 먹으면 많은 염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고춧가루나 젓갈 및 기본적인 염분을 제거할 수 있어 혈압 낮추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김치는 소금에 절여져 있기에 씻는다고 해서 맛이 많이 바뀌는 건 아니기에 건강에 대한 인식을 새기기에도 좋습니다.

  2. 겉절이 대체
    김치 대신 배추를 소금에 절이지 않고, 양념에 버무린 겉절이를 대체로 먹을 수 있습니다.
    겉절이는 김치보다 염분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염분 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저염분 김치 섭취
    요즘은 저염분 김치도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고혈압에 노출된 분들이 김치를 끊기 힘들다면 저염분 김치를 구매하셔서 섭취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 젓갈
    젓갈은 오랜 보존 기간을 위해 많은 소금을 넣어 절인 음식입니다.
    소금 덩어리라고 불러도 될 만큼 엄청 많은 양의 소금이 들어가는 음식입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젓갈은 밥상에서 제외해야 할 가장 큰 1순위 고염분 음식으로 최대한 피해야 할 음식입니다.

  • 찌개류
    고혈압이 걱정되시거나 고혈압 환자는 찌개를 식사에서 제한해야 합니다.

    찌개의 맛을 내기 위해서 고추장, 된장, 김치, 소시지 등 다량의 염분의 함유된 재료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싱겁게 국물을 섭취하는 것조차도 제한해야 하는 위험한 음식입니다.

    대신 찌개나 국물이 꼭 있어야 한다면 조금의 소금을 넣은 콩나물국이나 미역, 오이냉채 등의 소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종류로 식단을 꾸려야 합니다.

  • 어묵
    어묵에도 엄청난 소금이 들어간다는 것 아셨나요?

    보통 먹을 때는 짠맛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어묵은 괜찮을 거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어묵 또한 고혈압 환자들이 피해야 할 음식 중 하나입니다.

    어묵의 염분을 빼는 방법은 뜨거운 물에 충분히 삶은 후 간장이나 고추장, 기름 등을 포함하지 않고 그대로 드시는 게 좋습니다.

  • 햄, 소시지
    햄과 소시지 같은 가공식품은 염분 함량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가공하면서 방부제나 여러 화학첨가물도 들어가 있기 때문에 염분뿐만 아닌 고혈압에 미치는 안 좋은 성분들이 많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 라면
    라면은 대표적인 나트륨 덩어리인 걸 아시죠?

    해장을 위해서 혹은 한 끼 식사나 간식으로 선택되는 1순위가 라면인데 라면 국물 속에는 엄청난 염분이 들어있기 때문에 라면을 먹고 자기만 해도 얼굴이 붓는 것은 라면의 염분 때문입니다.

    특히 더 안 좋은 건 라면을 먹게 되면 김치나 단무지 같은 염분이 많은 반찬과 함께 먹게 된다는 점입니다. 비빔라면이나 짜장 라면 같은 식품들도 염분이 많이 들어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혈압은 약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며 식습관은 고치지 않고 약에만 의존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식습관을 조금만 개선해도 혈압을 조절하여 여러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니, 약에 의존하지 않고 식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과 염분 섭취로 고혈압을 건강하게 이겨내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짜게 먹고 물을 많이 마시면 된다?

아주 잘못된 생각입니다.
음식을 짜게 먹고 물만 많이 마신다면 위가 늘어나게 되고 염분의 섭취량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짜게 먹고 물을 많이 마신다는 것은 몸에 더 무리가 가는 행동이 될 수 있으므로 나트륨 섭취 자체를 조절해야 합니다.


혈압에 안 좋은 음식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친숙한 음식들이 보여 이걸 어떻게 안 먹고 살 수 있지? 하는 생각을 많은 분들이 하실 것 같은데

며칠, 몇 달만 식습관을 개선해도 혈압이 좋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꼭 실천하시기를 바랍니다.

3. 정상 혈압 수치

고혈압 수치는 수축기 혈압 120mmHg, 이완기 80mmHg 미만이 정상적인 혈압 수치라고 합니다.

식습관 개선을 하면 금방 정상 수치를 유지할 수 있고 꼭 병원에 가지 않아도 혈압을 쉽게 잴 수 있는 제품도 많고 무료로 혈압을 잴 수 있는 곳도 많으니 자주 혈압을 측정하여 정상 수치를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