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색깔로 알아보는 건강

환절기가 되면 목에 가래가 끼는 분들이 많아지고, 건조한 날씨에 통증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색깔에 따라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나 평소와 다른 색으로 가래가 배출되는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을 읽고 확인하셔서 미리 어떤 질병과 관련이 있는 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가래는 크게 세 가지 경로를 통해서 유입됩니다.

가래가 생기는 이유 세 가지

  1. 기관지와 폐에서 만들어져서 위로 올라오는 경우.
  2. 코와 부비동에서 생긴 점액제가 넘어가서 목에 끼는 경우.
  3. 호흡기의 문제가 아니라 식도로 위산이 역류해 후두염이 발생하면서 만들어지는 경우.

가래의 색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우리 몸속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따라서 모양과 색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냥 뱉지 마시고
휴지에 뱉어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설명드린 가래의 유형에 해당한다면은 연관 질환이 있는지 없는지 꼭 확인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혹시나 위험한 가래가 보인다면 미루지 마시고 빠르게 꼭 병원에 가야 합니다.
여러분이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건강한 색깔부터 위험한 가래 색깔까지 쭉 한번 말씀드려 볼게요

먼저, 우리 몸에는 수분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끈적거리는 점액질 또한 꼭 필요합니다.

이 점액질은 우리 몸속에 수분이 날아가지 않게 꼭 잡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을 아메바처럼 흡착해서 제거하는 청소부 역할을 합니다.

입안을 한번 만져보시면 미끌미끌한데 입안에서 많은 점액질이 분비되고요. 이를 비롯한 위장관에서도 만들어지고 코 부비동 또 폐 기관지에서 하루 1리터에서 1.5 리터 정도의 점액질이 만들어집니다.

이 점액질 중에서 특히 호흡기 쪽에서 만들어지는 점액질을 따로 가래라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래가 꼭 나쁜 것은 아니고요.

정상인의 경우에는 하루 한 100밀리 정도가 분비됩니다.

이런 정상적인 건강한 가래는 아주 부드럽게 삼켜지고 또 순환 배출이 잘 되기 때문에 목에 걸리는 느낌이 거의 없어요.

그런데 점점 끈끈해지고, 목에 끼고 또 색깔이 어둡게 변한다면, 이것은 우리 몸속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입니다.

가래 색깔로 건강 확인하는 방법

1. 하얀색인 경우

하얀색인 경우 거품과 침이 많이 섞여 있는 가래인데 보통은 감기 같은 상기도 감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또 위·식도 역류증이 있을 때 많이 생깁니다.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고 나면 꼭 목에 가래 끼는 분들이 있는데, 이것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콧속에서 점액질 분비량이 갑자기 많아지면서 그게 뒤로 넘어가서 목에 끼는 겁니다. 이렇게 맑고 하얀 가래는 보통 가벼운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분비량이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뱉었을 때도 어렵지 않게 잘 뱉어집니다.

2. 노란색인 경우

목에 들러붙어서 훨씬 뱉기가 어렵고 찐득한 노란 가래가 있습니다. 심하면 가래에서 악취가 나기도 하는데요. 뱉었을 때 색깔이 노랗다면 염증이 있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면역세포가 싸우면서 만들어 낸 어떤 삼출물 또 세균의 시체 또 떨어져 나온 이 상피세포 조직들이 이렇게 섞여서 노란 고름이 된 것입니다.
단순 감기가 아니라 부기동염이 심해져서 생긴 농이 뒤로 넘어오고 또 기관지역 폐렴 폐농양 같은 감염이 있을 때 노란 가래가 끓게 됩니다.

3. 녹색인 경우

만약에 가래를 뱉었는데 녹색이 나온다면 굉장히 놀랄 수가 있는데요. 이것은 녹농균 같은 세균 감염이 있을 때 결과물로 잘 나타나는 가래입니다.
기관지의 탄력이 파괴돼서 기관지 확장증이 생긴 경우에는 잘 배출되지 못하고 고이면서 세균 번식의 장소가 될 수가 있기 때문에 녹색 가래가 잘 생길 수가 있습니다.
이 농몽균은 항생제에 매우 높은 내성이 있는 슈퍼 박테리아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한 번 걸리면 패혈증으로 진행해서 사망에까지 이를 수가 있습니다.

습한 환경에서 아주 잘 번식하기 때문에 호흡기가 약한 분이라면 특히 우리 집 샤워기 또 칫솔 물이 묻은 수세미 같은 경우는 잘 건조해서 관리해야 합니다.

4. 갈색인 경우

폐 기관지가 망가져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장 위험한 색깔은 바로 갈색입니다.
뱉었는데 계속 어두운 빛깔의 갈색 가래가 나온다. 그리고 기침도 하면서 최근에 체중도 빠지고 있다고 한다면, 이때는, 즉각 병원으로 달려가서 검사를 받아봐야 합니다. 폐 기관지의 암이나 심한 염증으로 실핏줄이 터지면서 고여 있다가 배출되는 가래이기 때문입니다.

암이 아니라 기관지 확장증 또 폐그레인 색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는 노란색이었다가 병이 점점 진행되면서 녹색으로 바뀌었다가 이후에 이 갈색 가래가 생기면서 객혈에 이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갈색은 병이 위중할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더 정확한 것은 다른 호흡기 증상의 유무, 발열 유무 등 엑스레이와 다른 기타 검사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기억하셨으면 하는 것은 가래가 나온다면 그냥 뱉지 마시고 휴지에 뱉어서 꼭 색깔을 확인하는 것으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가래는 태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물질 먼지가 기관지로 들어가는 것을 일차적으로 잡아주는
아주 중요한 자정 작용을 합니다.

그렇기에 한 군데 고이거나 들러붙지 않고 항상 잘 순환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건조하지 않아야 이동이 쉬워지고 본연의 역할도 잘 수행할 수가 있습니다.

추천하는 글

고지혈증, 당뇨에서 조심해야 할 아침 식사 세가지

대추와 궁합이 좋은 음식 추천 (대추와 함께 드세요)

아침밥 대신 먹으면 좋은 음식

저녁을 안먹는 간헐적 단식 몸에서는 어떤 변화가 올까?

식후습관 중요한 5가지 사실 (절대 하면 안되는 위험한 식습관)